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층과 지역통화: 참여 유도 방안

by 개굴개굴희 2025. 6. 29.

지역통화 정책이 성공하려면 청년층의 사용을 유도해야 한다. 청년층이 소비를 주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년층의 지역통화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적은 편이다. 청년층의 지역통화 참여 유도 방안을 알아보며, 지역 통화가 흥행하려면 어떤 정책을 펼쳐야 할지 생각해 보도록 하자.

 

청년층과 지역통화: 참여 유도 방안

 

왜 청년층은 지역통화에 소극적일까?

지역통화는 지역 경제를 살리고 공동체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청년층의 관심과 참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 접근성 부족: 지역통화의 개념이나 혜택을 체계적으로 접할 기회가 없음
실용성 미흡: 사용처가 제한되거나, 법정화폐보다 불편하다는 인식
디지털 경험과 단절: 종이 기반 지역통화 또는 낯선 플랫폼에 대한 거리감
브랜드·가치 중심 소비 선호: 대형 브랜드나 온라인 중심 소비 패턴과의 충돌

즉, 청년층에게 지역통화는 낯설고 불편하며, 내게 큰 의미가 없어 보이는 시스템으로 비쳐지기 쉽습니다. 이러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청년의 일상, 가치, 소비 방식에 맞춘 참여 전략이 필요합니다.

 

청년 친화적 지역통화 설계 전략

청년층의 참여를 이끌기 위해선 단순한 홍보를 넘어, 사용자 경험(UX), 보상 구조, 문화적 접근이 통합된 설계가 중요합니다.

 

디지털 기반 강화
• 모바일 앱, QR 결제, 간편 로그인 기능 제공
• 기존 사용 중인 플랫폼(예: 카카오, 제로페이 등)과 연동
• 거래 내역 시각화, 지역 혜택 지도화 등 편의성 향상

 

사용처 다양화 및 문화 연계
• 카페, 독립서점, 공유오피스, 청년창업 매장 등 라이프스타일 기반 가맹점 확보
• 지역통화로만 결제 가능한 청년 전용 이벤트, 페스티벌 운영
• 로컬 굿즈, 굿즈 마켓, 지역 아티스트 연계 콘텐츠 구성

 

사회적 가치와 연결
• 지역 봉사활동, 기후행동, 자원봉사 등에 지역통화 리워드 지급
• 활동 실적을 ‘커뮤니티 포인트’로 전환해 이력서, 포트폴리오에 활용 가능하도록 구조화
• “착한 소비를 하면 내가 보상받는다”는 윤리적 소비 시스템 구축

이러한 설계를 통해 지역통화는 단지 ‘지자체 쿠폰’이 아닌, 청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경험 중심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참여 유도 사례와 정책 제안

국내외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참여 유도형 지역통화 실험이 시도된 바 있습니다.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만 24세 청년에게 모바일 지역화폐로 연 100만 원 지급
• 전용 앱 기반으로 지역 내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 단순 수당 지급이 아닌, 디지털 경험+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

 

🇩🇪 베를린 ‘Kiezgeld’ 프로젝트
• 청년들이 참여한 도시녹화 활동, 거리청소, 공공 프로젝트에 대해 지역통화를 보상으로 지급
• 포인트를 지역 카페, 서점, 문화 공간에서 자유롭게 사용
• 청년의 사회참여 → 지역 문화 소비로 자연스럽게 연결

 

정책 제안
• 지역 청년 커뮤니티와 협업: 설계 단계부터 청년의 의견을 반영한 ‘참여형 기획’
• SNS 홍보+챌린지형 콘텐츠: 미션 수행 후 지역통화 지급 (예: 제로웨이스트 챌린지)
• 디지털 굿즈+NFT 연계: 지역 활동을 디지털 자산으로 보상

이처럼 청년의 가치관(환경, 공정, 참여), 디지털 감성,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전략이 동반될 때, 지역통화는 ‘구시대적 수단’이 아닌 미래형 커뮤니티 툴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청년층과 지역통화는 겉으로 보기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일 수 있지만,
사용자의 언어와 가치를 이해하고, 기술과 문화를 결합하면 놀라운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지역통화가 청년에게 ‘필요한 것’이 되려면,
먼저 청년이 좋아하는 것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