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상공인 입장에서 본 지역통화의 장단점

by 개굴개굴희 2025. 7. 2.

지역통화는 많은 이로움이 있지만, 여기에는 단점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소상공인 입장에서 본 지역통화의 장단점과, 지역통화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그 개선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역과 소상공인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소상공인 입장에서 본 지역통화의 장단점
소상공인 입장에서 본 지역통화의 장단점

지역통화, 소상공인에게 어떤 기회를 줄까?

지역통화는 특정 지역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화폐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계됩니다.
소상공인 입장에서 지역통화의 가장 큰 장점은 ‘고정 고객 확보와 매출 증가’입니다.

 

✔ 장점 요약
• 지역 내 소비 촉진: 대형마트나 온라인 쇼핑몰이 아닌, 지역 가맹점에 소비 집중
• 단골 유도 효과: 지역통화 보유자는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을 찾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유입 고객 증가
• 지방자치단체 지원: 많은 지자체가 인센티브(예: 10% 추가 지급)를 제공하여 소비자 유인을 높임
• 소통 확대: 지역 기반 커뮤니티 활동과 연계되어 고객과의 관계 강화 가능

예를 들어, 경기도의 경기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상점들은 “현금보다도 지역화폐 손님이 많다”고 평가할 정도로 매출 증대 효과를 체감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이 체감하는 현실적인 단점들

그러나 장점만큼이나 소상공인이 실제로 겪는 불편과 부담도 존재합니다. 일부 상인은 지역통화가 ‘생색만 내는 제도’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 단점 요약
• 사용처 제한 부담: 받은 지역통화를 또 다른 거래에 사용하기 어려움. 현금화 절차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유동성 저하
• 정산 지연 문제: 일부 시스템에서는 정산까지 며칠이 소요돼 운영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음
• 결제 시스템 복잡성: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상인은 앱 설치, QR 결제 등의 진입장벽을 느끼기도 함
• 고객 유입 불균형: 특정 상점에만 수요가 몰리는 경우, 소상공인 간 경쟁 심화로 이어질 수 있음

또한, 지역통화 사용자가 단기 혜택(인센티브)만을 보고 일시적으로 몰리는 소비 패턴을 보일 경우, 지역상권의 장기적인 고객 확보에는 한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시스템을 위한 개선 제안

소상공인이 지역통화 시스템의 핵심 사용자이자 수혜자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참여만 유도할 게 아니라, 현장 중심의 운영 개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개선 방향
• 정산 속도 개선: 정산일 단축 및 실시간 정산 시스템 도입 필요
• 지역통화 재사용 네트워크 확대: 상점 간 물류, 원자재 거래 등에서도 지역통화 사용 가능하도록 B2B 가맹 확대
• 디지털 UX 개선: 고령 소상공인을 위한 간편 앱, 키오스크 연계, 오프라인 쿠폰제 병행
• 차등 인센티브 제공: 인지도 낮은 상점이나 신규 참여 가맹점에 대해 추가 혜택 제공으로 참여 유도
• 지역 상인회와 연계한 홍보 강화: 고객-상인 간 공동 마케팅 구조 설계

이러한 접근을 통해 소상공인은 단기 매출 향상뿐 아니라, 커뮤니티 안에서 장기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지역통화는 소상공인의 경제적 기회를 넓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체감되는 효용은 제도 설계와 운영의 세밀함에 달려 있습니다.
• ‘고객 유입이 늘었지만, 현금보다 불편하다’
• ‘팔기는 쉬워졌지만, 돌려쓰기는 어렵다’

이러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소상공인의 현실에 맞춘 사용자 중심 설계가 이루어질 때,
지역통화는 진정한 지역경제의 활력소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