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지역 통화를 도입하려고 할때, 상당히 낯선 개념으로 인해 사람들의 반발이 우려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민 설명회의 중요성을 통해 이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 성공적인 주민 설명회를 위한 구성안 시뮬레이션과 팁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성공적인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첫걸음을 함께해 볼까요?
왜 주민 설명회가 중요한가?
지역통화는 단순한 ‘화폐 발행’이 아니라, 지역 주민 모두가 참여해야 작동하는 순환 경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도입 전부터 지역 주민의 이해와 동의, 참여 의지를 확보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 주민 설명회의 핵심 목표
• “지역통화가 뭔지 알겠다”는 개념 이해
• “우리 동네에 왜 필요한지 알겠다”는 공감 유도
• “사용할 수 있겠다”는 실행 가능성 확보
특히 고령층, 소상공인, 청년 등 다양한 세대와 계층의 눈높이에 맞춘 설명 구조가 필요합니다. 설명회는 단지 정보를 전달하는 자리가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신뢰 기반을 만드는 첫 번째 만남입니다.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 구성안
주민 설명회를 기획한다면 어떤 흐름이 효과적일까요? 아래는 설득이 아닌 공감 중심의 시나리오 예시입니다.
① 오프닝 (5분)
• 마을 이장 또는 친숙한 주민 대표가 진행
• “왜 우리가 이 자리에 모였는가?”를 일상 언어로 설명
• 예: “요즘 장사 너무 어렵죠? 그런데 우리끼리 쓰는 돈이 있다면 어떨까요?”
② 지역통화 개념 소개 (10분)
• 전문가 또는 행정 담당자가 시각 자료로 설명
• ‘돈’이 아니라 ‘순환’이라는 개념 강조
• 외국 사례(브리스톨 파운드, 후지노 엔 등) 간단 소개
• “이게 우리 마을에 오면 어떤 모습일까?”로 연결
③ 우리 동네 적용 시나리오 소개 (10분)
• 마을 축제, 자원봉사, 상점 이용 등 실제 생활 속 예시 제시
• 예: “봉사 1시간 하면 5단위 지급, 마을카페에서 커피 1잔 가능”
• 예상 가맹점 소개, 사용 방법(앱 또는 종이), 유통 흐름 설명
• 소상공인 인터뷰 영상 또는 메시지 포함 시 효과적
④ 주민 참여 질의응답 (15분)
• 사전 수집된 질문 + 현장 질문
• “그럼 난 이걸 어디서 쓸 수 있어요?”, “환불은 안 되나요?” 등
• 불안 요소를 해소하는 정직한 답변이 핵심
⑤ 마무리 및 참여 제안 (5분)
• “참여 신청서”, “가맹점 등록 신청”, “추가 설명회 일정 안내”
• 기념품 또는 지역통화 소액 샘플 지급 → 실제 체험 유도
성공적인 주민 설명회를 위한 실전 팁
✔ 어렵게 설명하지 않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같은 용어보다
→ “우리끼리 돌려 쓰는 마을 돈”, “마을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쿠폰” 등의 표현이 더 효과적입니다.
✔ 주민 사례를 중심에 두기
“이걸 쓰면 A마트 사장님은 어떤 변화가 있을까?”
“B아줌마는 어떤 기여를 하고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 구체적인 인물 중심 스토리텔링이 참여율을 높입니다.
✔ 시각 자료와 체험 요소 활용
• 카드 형태 시제품, QR 결제 체험, 시나리오 브로슈어
• “한 번 써봤다”는 경험이 설명보다 더 설득력 있음
✔ 갈등보다 공감을 이끌기
• “왜 해야 하나요?“가 아니라,
• “이걸 하면 우리 동네가 뭐가 좋아지나요?“라는 흐름으로
→ 정책 대상이 아닌 정책의 공동 설계자로 주민을 초대해야 합니다.
지역통화는 제도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중심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그 첫 단추는 주민 설명회에서의 공감 형성입니다.
• 개념 전달보다 스토리 중심
• 기술 설명보다 체험 중심
• 제안보다 협력 중심
이러한 설명회를 통해, 지역통화는 정책이 아니라 주민의 프로젝트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