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

by 개굴개굴희 2025. 7.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에 대해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지역 통화를 도입하려고 할때, 상당히 낯선 개념으로 인해 사람들의 반발이 우려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민 설명회의 중요성을 통해 이의 필요성을 고찰해 보고, 성공적인 주민 설명회를 위한 구성안 시뮬레이션과 팁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성공적인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첫걸음을 함께해 볼까요?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
지역통화 도입을 위한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

 

왜 주민 설명회가 중요한가?

지역통화는 단순한 ‘화폐 발행’이 아니라, 지역 주민 모두가 참여해야 작동하는 순환 경제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도입 전부터 지역 주민의 이해와 동의, 참여 의지를 확보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주민 설명회의 핵심 목표
• “지역통화가 뭔지 알겠다”는 개념 이해
• “우리 동네에 왜 필요한지 알겠다”는 공감 유도
• “사용할 수 있겠다”는 실행 가능성 확보

특히 고령층, 소상공인, 청년 등 다양한 세대와 계층의 눈높이에 맞춘 설명 구조가 필요합니다. 설명회는 단지 정보를 전달하는 자리가 아니라, 지역공동체의 신뢰 기반을 만드는 첫 번째 만남입니다.

 

주민 설명회 시뮬레이션 구성안

주민 설명회를 기획한다면 어떤 흐름이 효과적일까요? 아래는 설득이 아닌 공감 중심의 시나리오 예시입니다.

오프닝 (5분)
• 마을 이장 또는 친숙한 주민 대표가 진행
• “왜 우리가 이 자리에 모였는가?”를 일상 언어로 설명
• 예: “요즘 장사 너무 어렵죠? 그런데 우리끼리 쓰는 돈이 있다면 어떨까요?”

지역통화 개념 소개 (10분)
• 전문가 또는 행정 담당자가 시각 자료로 설명
• ‘돈’이 아니라 ‘순환’이라는 개념 강조
• 외국 사례(브리스톨 파운드, 후지노 엔 등) 간단 소개
• “이게 우리 마을에 오면 어떤 모습일까?”로 연결

우리 동네 적용 시나리오 소개 (10분)
• 마을 축제, 자원봉사, 상점 이용 등 실제 생활 속 예시 제시
• 예: “봉사 1시간 하면 5단위 지급, 마을카페에서 커피 1잔 가능”
• 예상 가맹점 소개, 사용 방법(앱 또는 종이), 유통 흐름 설명
• 소상공인 인터뷰 영상 또는 메시지 포함 시 효과적

주민 참여 질의응답 (15분)
• 사전 수집된 질문 + 현장 질문
• “그럼 난 이걸 어디서 쓸 수 있어요?”, “환불은 안 되나요?” 등
• 불안 요소를 해소하는 정직한 답변이 핵심

마무리 및 참여 제안 (5분)
• “참여 신청서”, “가맹점 등록 신청”, “추가 설명회 일정 안내”
• 기념품 또는 지역통화 소액 샘플 지급 → 실제 체험 유도

 

성공적인 주민 설명회를 위한 실전 팁

어렵게 설명하지 않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같은 용어보다
→ “우리끼리 돌려 쓰는 마을 돈”, “마을 안에서만 쓸 수 있는 쿠폰” 등의 표현이 더 효과적입니다.

주민 사례를 중심에 두기

“이걸 쓰면 A마트 사장님은 어떤 변화가 있을까?”
“B아줌마는 어떤 기여를 하고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 구체적인 인물 중심 스토리텔링이 참여율을 높입니다.

시각 자료와 체험 요소 활용
• 카드 형태 시제품, QR 결제 체험, 시나리오 브로슈어
• “한 번 써봤다”는 경험이 설명보다 더 설득력 있음

갈등보다 공감을 이끌기
• “왜 해야 하나요?“가 아니라,
• “이걸 하면 우리 동네가 뭐가 좋아지나요?“라는 흐름으로
→ 정책 대상이 아닌 정책의 공동 설계자로 주민을 초대해야 합니다.

 

지역통화는 제도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중심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그리고 그 첫 단추는 주민 설명회에서의 공감 형성입니다.
• 개념 전달보다 스토리 중심
• 기술 설명보다 체험 중심
• 제안보다 협력 중심

이러한 설명회를 통해, 지역통화는 정책이 아니라 주민의 프로젝트로 시작될 수 있습니다.